글
기름진 음식 중독성 있어 자꾸 먹는다[코리아메디케어]
입력 2011.07.06 08:39
감자튀김이나 감자칩처럼 기름진 음식은 한 번 손을 대면 좀처럼 먹는 것을 멈추기가 어렵다. 그런데 기름진 음식에 자꾸 손이 가는 것은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음식이 신체에 영향을 미쳐 중독성을 갖게 하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어바인 연구소 다니엘 피오멜리 연구원은 기름진 음식이 신경 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다. 그 결과 지방 함유량이 높은 음식은 엔도카나비노이드(endocannabinoid)라는 물질을 만들어내 음식에 중독성을 높이게 된다고 밝혔다.
엔도카나비노이드(endocannabinoid)는 과식이나 흡연 욕구를 자극하는 물질로 뇌의 중추 신경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대마초와 비슷한 효과가 있어 ‘천연 대마초 물질’로 불리기도 한다. 이 물질이 많이 분비되면 먹고 싶은 욕구와 흡연 욕구가 동시에 커진다. 이 때문에 엔도카나비노이드의 생산 시스템을 차단함으로써 금연과 비만을 동시에 해결하려는 움직임도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번 실험은 쥐에게 지방 함유량이 많은 먹이를 먹이고 쥐의 신경 체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기름진 음식을 한 번 맛 본 쥐의 혀와 위장은 엔도카나비노이드를 많이 만들어내라는 신호를 뇌로 보내기 시작했다. 이런 과정을 거치자 쥐들은 계속해서 기름진 음식을 과도하게 먹는 현상이 나타났다.
지방은 에너지를 몸 안에 축적하고 보관하는 신체 시스템의 산물이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은 먹이가 떨어질 때를 대비해 최대한 에너지를 몸속에 많이 저장해 두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기름진 음식을 한 번 맛 본 뒤 엔도카나비노이드가 많이 생산되는 것도 가능할 때 에너지를 최대한 저장해두려는 동물의 본성 때문이다.
피오멜리 연구원은 “특정한 약물을 사용해 엔도카나비노이드 생산 시스템을 차단하면 기름진 음식을 먹고 싶은 욕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유전자 연구에 대해 세계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미국의 학술원 학술지(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온라인판에 실렸으며 온라인 의학전문지 메디컬뉴스투데이가 5일 보도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차' 즐겨 마시는 사람 코 속 '슈퍼박테리아' 적다 (0) | 2011.07.17 |
---|---|
양치질이 발기와 관련이 있다? (0) | 2011.07.17 |
웨이트운동 골다공증 앓는 폐경 여성 '뼈 소실' 억제 (0) | 2011.07.17 |
한국 부자들이 반드시 지키는 8가지 원칙 (0) | 2011.07.16 |
무선 충전기의 상용화? (0) | 2011.07.15 |
RECENT COMMENT